'국보'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국보

국보 제301호~마지막 국보 제328호 국보 제301호~마지막 국보 제328호 국보 제301호 화엄사 영산회 괘불탱 (華嚴寺 靈山會 掛佛幀) 석가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모습인 영산회상을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화엄사에 있는 이 괘불의 크기는 길이 11.95m, 폭 7.76m이다. 석가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보현보살과 사천왕상 등이 배치되었다. 화면 중앙의 석가불은 높다랗게 만들어진 단의 연꽃받침 위에 앉아 있으며, 마귀를 물리친다는 의미로 손가락이 땅으로 향한 손모양을 취하고 있다. 둥근 얼굴과 어깨에서 부드럽고 원만한 느낌을 주고 필선은 매우 섬세하고 치밀해 세련미를 더한다. 석가불 좌우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석가를 모시며 서 있다. 사천왕.. 더보기
경복궁 스토리 경복궁 스토리 광화문 이곳은 경복궁의 남문, 광화문이다. 요즘은 광화문 앞 세종로 양쪽으로 정부청사 건물들이 죽 늘어서 있다. 조선시대에도 비슷했다. 광화문 앞은 의정부와 이조, 형조, 예조 등 육조 건물이 들어섰던 관청거리였다. 조선의 신하들은 해치를 바라보며 오늘도 공명정대하게 일을 하리라 다짐을 했다. 광화문은 역사의 증인이기도 하다. 임진왜란 때는 불에 타고, 일제강점기에는 해체되어 다른 곳으로 이전되는 수모를 당하고 한국전쟁 때는 포화를 맞았다. 그러다가 1968년 복원하였으나 목재가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잘못된 위치에 세워지고 만다. 다행히 경복궁 복원사업이 시작되면서 현재 광화문은 1867년 고종임금님이 중건 했을 당시의 모습을 되찾았다. 영추문 이곳 영추문은 경복궁의 서쪽 대문이다.. 더보기
대한민국국보 제201호~300호 대한민국국보 제201호~300호 국보 제201호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奉化 北枝里 磨崖如來坐像) 국보 제202호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三十七) 국보 제203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六) 국보 제204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六) 국보 제205호 충주 고구려비 (忠州 高句麗碑) 국보 제206호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陜川 海印寺 高麗木板) 국보 제207호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慶州 天馬塚 障泥 天馬圖) 국보 제208호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사리기 (桃李寺 世尊舍利塔 金銅舍利器) 국보 제209호 보협인석탑 (寶篋印石塔) 국보 제210호 감지은니 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紺紙銀泥 不空羂索紳變眞言經 卷十三) 국보.. 더보기
국보 제101호~200호 국보 제101호~200호 국보 제101호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 국보 제102호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 국보 제103호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光陽 中興山城 雙獅子 石燈) 국보 제104호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국보 제105호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山淸 泛鶴里 三層石塔) 국보 제106호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국보 제107호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白磁 鐵畵葡萄文 壺) 국보 제108호 계유명삼존천불비상 (癸酉銘三尊千佛碑像) 국보 제109호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 국보 제110호 이제현 초상 (李齊賢 肖像) 국보 제111호 안향 초상 (安珦 肖像).. 더보기
대힌민국 국보 제51호~100호 국보 제51~100호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江陵 臨瀛館 三門) 국보 제52호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국보 제53호 구례 연곡사 동 승탑 (求禮 鷰谷寺 東 僧塔) 국보 제54호 구례 연곡사 북 승탑 (求禮 鷰谷寺 北 僧塔) 국보 제55호 보은 법주사 팔상전 (報恩 法住寺 捌相殿) 국보 제56호 순천 송광사 국사전 (順天 松廣寺 國師殿) 국보 제57호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 국보 제58호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국보 제59호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 국보 제60호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靑磁 獅子形蓋 香爐) 국보 제61호 청자 어룡형 주전자 (靑磁 魚龍形 注子) 국보 제62호 김제 금산사 미륵전 .. 더보기
합천해인사 장경판전 국보 제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江陵 臨瀛館 三門) 강원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용강동) 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51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에 지은 강릉 객사의 정문으로, 현재 객사 건물은 없어지고 이 문만 남아 있다. 객사란 고려와 조선시대 때 각 고을에 두었던 지방관아의 하나로 왕을 상징하는 나무패를 모셔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해 절을 하는 망궐례를 행하였으며, 왕이 파견한 중앙관리나 사신들이 묵기도 하였다. 이 객사는 고려 태조 19년(936)에 총 83칸의 건물을 짓고 임영관이라 하였는데, 문루에 걸려 있는 ‘임영관’이란 현판은 공민왕이 직접 쓴 것이라고 한다. 몇 차례의 보수가 있었고, 일제강점기에는 학교 건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학교가 헐린 뒤 .. 더보기
대한민국 국보 제1호~제100호 대한민국 국보 제1호~50호 1 서울숭례문(서울崇禮門) -- 국보 1호 서울 중구 2 원각사지십층석탑(圓覺寺址十層石塔) -- 국보 2호 서울 종로구 3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 국보 3호 서울 종로구 4 고달사지부도(高達寺址浮屠) -- 국보 4호 경기 여주군 5 법주사쌍사자석등(法住寺雙獅子石燈) -- 국보 5호 충북 보은군 6 중원탑평리칠층석탑(中原塔坪里七層石塔) -- 국보 6호 충북 충주시 7 봉선홍경사사적갈비(奉先弘慶寺事蹟碣碑) -- 국보 7호 충남 천안시 8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聖住寺郎慧和尙白月보光塔碑) -- 국보 8호 충남 보령시 9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 -- 국보 9호 충남 부여군 10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實相寺百丈菴三層石塔) -- 국보 10호 .. 더보기
대한민국 국보의 이해 우리나라 국보 지정의 역사를 살펴보면 일제강점기인 1933년 8월 제정된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에는 문화재의 종류에 국보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일본이 1929년 '국보보존법' '국보 보존법'을 제정하여 자국의 문화재를 보호 관리한 것에 비하면, 식민국가에 대한 일본의 문화 격하 정책의 의도가 있었던 것입니다. 해방 후 1955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일제 때 지정된 보물을 모두 국보로 승격시키면서 처음으로 국보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된 후 1963년에 다시 북한 소재의 것을 제외시키고 국보를 국보와 보물로 재분류하여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한편 국보의 지정번호는 그 가치의 우열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지정 순서에 따라 정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서 국보에 관한 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