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민속풍경'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민속풍경

잊혀져가는 민속놀이 민속놀이 1. 가락지 찾기놀이 주로 여자아이들이나 부녀자들이 방 안에서 하는, 가락지나 기타 작은 물건들을 숨기고 찾는 놀이다. 2. 가마타기 가마 타는 것을 모방하여 팔로 가마 모양을 만들어 노는 아이들 놀이다. 3. 가위바위보 보통은 ‘가위바위보’라고 하지만 1960~70년대에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들은 ‘묵찌빠’라고 하기도 했다. 4. 감내 게줄당기기 경상남도 밀양 부북면 감천리(감내) 일대에서 전승되는, 게 모양의 줄을 어깨에 걸고 엎드려서 서로 등을 지고 끄는 줄싸움 형태의 놀이다. 5. 강강술래 서남 해안 일대에서 정월대보름이나 추석 때 여성들 중심으로 각종 동그란 원을 그리면서 춤, 노래, 놀이가 병행되는 민속놀이다. 6. 거북놀이 추석에 수수잎으로 거북 모양의 외피를 만들어 뒤집어쓰고 다니.. 더보기
설날 구정 대한민국 최대의 명절중 하나이자 전날과 다음 날을 포함한 3일이 법정 공휴일인 설날이다. 이 때문에 섣달그믐이 윤달일 경우 윤달만 휴일로 인정되고 평달은 휴일이 아니다. 이는 윤12월이 생길 경우 12월->윤12월->1월 순서대로 달이 바뀌기 때문이다. 음력 1월 1일인 설날은 구정, 정월 초하루, 음력설로도 불리며 한자어로는 신일(愼日),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단월(端月), 원일(元日) 등으로 불린다. 이날 떡국 한그릇을 먹으면 1살 더 먹는 다는 게 한국의 세는나이다. 구정이라고도 불리는데 이것이 일제의 잔재라는 인식이 있으나 국립국어원의 답변에 따르면 근거 없는 이야기다. 다만 국립국어원에서는 구정이라는 표현이 낡은 느낌을 주기 쉽다는 이유로 구정 대신 음력설이라는 표현을.. 더보기
민속의 현장 정월대보름 금천리 깃고사 금천리 깃고사 깃고사는 농기를 모시는 제사다. 예로부터 농기는 농신을 의미하고 동시에 마을을 상징하는 의미이기도 하다. 충남 연기군 금천리…마을이 산자락 얕은 구릉지로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밭농사에 치중할 수 밖에 없는 산촌마을. 해마다 농사가 시작될 무렵이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깃고사 풍속이 전해오고 있다. 두레을 나갈때, 농번기에는 농기를 앞세우고 일을 하러 나가곤 했는데 상대를 만나면 한바탕 기 싸움이 벌어지곤 했다. 일단 싸움에 진 농기는 승자앞에 한동안 깃대를 낮추어야 했다. 예전에는 깃고사를 집에서 지냈기때문에 마을의 신임이 두텁고 집안에 궂은 일이 없는 집을 선정하여 고사를 지낼 집 마당에 기를 세우고 제를 지냈다. 일단 기가 세워지면 집주인도 바깥출입을.. 더보기
민속놀이의 유래 민속놀이의 유래 민간에는 예부터 경기·오락·연희·곡예 따위 놀이가 많이 전해오고 있다. 민속놀이는 놀이가 전승되고 있는 집단의 성격에 따라 전문인들의 놀이와 일반인들의 놀이, 놀이를 하는 시기에 따라 세시놀이와 평상시의 놀이 등으로 분류된다. 그 밖에 놀이를 하는 연령층에 따라 어른놀이와 아이놀이로, 놀이를 하는 성별에 따라 남자놀이와 여자놀이, 놀이를 하는 인원에 따라 집단놀이와 개인놀이 등으로 나눌 수도 있다. 또, 민속놀이는 전국에서 행하는 국중놀이, 일부 지역에서만 행하는 향토놀이, 황해도와 강원도 북부를 경계로 하여 이남에서 행해지는 남부놀이, 이북에서 행하는 북부놀이로 나누기도 한다. 그러나 민속놀이의 내용은 거의가 풍작을 기원하는 것이다. 전문인들의 놀이에는 고성 오광대 양주 별산대놀이 등 .. 더보기
우리의 민속놀이 1~5 우리의 민속놀이 1~5 1. 연날리기 이 연날리기 놀이는 지방에 따라서는 섣달(12월)중순경부터 시작하는 지역도 있지만, 그 절정기는 역시 설날에서부터 대보름날 사이이다. 연 날리기는 우리나라의 정초의 「3대 놀이」의 하나로서 남자들이 즐기는 윷놀이와 부녀자들이 즐기는 널뛰기 못지 않게 멋지고 호쾌한 놀이이다. 이 연의 역사는 매우 오래된 것이다. 즉 신라의 진덕여왕1년 (648)에 이미 연날리기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또한 고려시대의 최영(崔瑩)장군이 제주도를 정복할 때에 연을 활용했다는 설도 있다. 연은 주로 한지(韓紙)와 대나무를 가지고 만드는데, 그 크기는 대략 가로 2자, 세로3자 정도의 종이에 가운데를 동그랗게 오려내고 이 구멍을 중심으로 준비해 둔 얇은 대나무 쪽을 쌀미자(米)형으로 붙이.. 더보기